5060 블라우스, 신생활복 문화재 등록된다
상태바
5060 블라우스, 신생활복 문화재 등록된다
  • 도시일보
  • 승인 2022.10.17 10: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5060 패션 '낙하산 블라우스'·'신생활복' 문화재 된다

 

17일문화재청은 '1950년대 낙하산 블라우스', '1960년대 신생활복', '일제강점기 강제징병 무사귀환 염원 조끼와 어깨띠' 등 3건을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 예고했다.

'1950년대 낙하산 블라우스'는 6·25전쟁 직후 대구 피난시절 디자이너 최경자가 폐낙하산을 재활용해서 블라우스를 제작해 판매하다가 인기를 얻자 수입 나일론 원사를 편물로 제직해 만든 블라우스다.

당시 사치품으로 분류돼 수입이 금지된 나일론 섬유가 여성들에게 선풍적 인기를 끌게 된 시대상황과 편물 및 봉제 기술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유물이다.

 

 
'1960년대 신생활복'은 국민재건운동의 단면을 보여주는 유물이다. 이 역시 최경자 디자이너가 디자인했다.

국민 재건 운동은 당시 국민의 의생활을 개선하고, 재건의식을 고취하기 위해 ‘신생활 복장’을 제정하고, 이를 널리 보급하기 위해 전개된 운동이다.

이 옷 역시 최경자 디자이너가 디자인했다. 당시 정부가 제시한 신생활복의 표준안을 재해석해 저고리와 치마를 분리하지 않은 원피스형, 단추로 여미고 탈부착형 고름을 달아 장식 기능을 더한 저고리 등을 디자인했다.

당시 생활복식사 및 한복의 현대화 과정을 엿볼 수 있어 가치가 있다.

 

'일제강점기 강제징병 무사귀환 염원 조끼와 어깨띠'는 일제강점기 강제 징집된 아들의 무사귀환을 바라는 어머니가 직접 제작한 유물이다.

러일전쟁 전후 생겨난 일본 풍습인 천인침이 일제강점기 말 징집되는 조선청년인 아들의 무사귀환을 바라는 조끼의 제작에 사용된 점은 국권침탈이 우리 문화의 깊숙한 부분까지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주는 사례다.

강제징병 당시 상황도 보여준다. 유물 착용자의 징집 시기, 자대 배치 및 전역 날짜, 아내의 창씨명 등 징집관련 기록은 국가기록원 소장 ‘강제동원자 유수명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문화재청은 '1950년대 낙하산 블라우스' 등 3건에 대해 30일간 예고기간을 통해 의견을 수렴하고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통해 문화재로 최종 등록될 예정이다.

 

한편 문화재청은 '서울 구 천도교 중앙총부 본관'와 '이육사 친필 편지 및 엽서'를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 고시했다.

'이육사 친필 편지 및 엽서는 이육사가 1930년대 당시 근황을 담아 친척과 친구에게 보낸 친필 편지와 엽서다.

친필 편지로 중외일보 대구지국 근무시절 당시 시인이 겪은 생활형편을 짐작할 수 있다. 친필 엽서에는 시인 신석초와의 우정과 고향을 자주 찾지 못하는 아쉬움, 친척 간 정을 그리워하는 내용을 담았다. 시인이자 독립운동가 이육사의 인간적인 면을 파악할 수 있는 친필자료로 가치가 있다.

 

'서울 구 천도교 중앙총부 본관'은 1921년 천도교 중앙대교당과 함께 건립돼 일제강점기에 독립운동과 사회계몽 활동이 이뤄진 장소다.

1969년 기존 소재지 일대의 도시개발사업으로 철거 위기에 놓였으나 해방 전 천도교가 수행했던 민족운동과 독립운동의 역사를 보존하려는 의지로 건물을 철거하지 않고 서울 강북구 삼양로(우이동)에 있는 천도교 봉황각 옆으로 이전됐다. 당대 건축 기술적 한계, 근·현대사 민족종교 활동, 민족운동사를 확인할 수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보이후드 팝' 투어스, 데뷔 앨범 40만장 넘겨
  • 활짝 핀 벚꽃 '찰칵'
  • 장흥 하늘빛수목원 튤립축제 4월5일 개막
  • 서울대공원, 내달 5~7일 벚꽃축제 진행
  • 4월 아파트 분양... 전년比 2배 넘게 증가
  • 노란 물결 속 하트